본문 바로가기

환경6

[유역모델]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오늘은 수질 및 수문 모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역 모델(Hydrological Models) 중 하나인 HSPF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HSPF 모형의 정의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는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개발한 수문모델분석 모형입니다. 물의 양과 수질 관리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시계열 분석이 가능한 반분포형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 모델입니다. 따라서, HSPF 수문 순환과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관리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HSPF는 지정된 유역 또는 배수 지역에서 강수량, 눈녹음, 유거수, 증발산 및 지하수 재충전을 포함한 수문학적 순환을 모의.. 2023. 2. 21.
[Intro] Environmental Big Data overview (환경빅데이터 개요) 1. 환경빅데이터란 무엇인가? (What is the envrimetnal Big data?) 환경 빅데이터는 센서, 위성, 모니터링 장치, 뉴스 미디어를 포함하여 다양한 소스에서 생성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말하며 자연과수문 환경을 연구하고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환경 빅데이터는 날씨 패턴, 대기 및 수질, 토지 이용을 포함한 광범위한 환경 요인을 추적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있습니다. 환경 빅데이터 이용의 증가는 지구의 상태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지구를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해서 다양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Eng. Environmental big data refers to the vast amounts of data generated by var.. 2023. 1. 30.
[Big data + ML] 빅데이터와 기계학습이 환경과 수자원 관리에 미치는 이점 1 빅데이터와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ML)는 환경 및 수자원 관리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EWM)에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빅데이터 대용량, 속도, 다양성과 진설성을 바탕으로 하는 자산 정보를 제공해 준다. 최근 원격 센싱 기술, 스마트 정보통신 기술, 소셜 미디어의 빠른 발전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활용 능력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특히 EWM 분야에서도 기상예보, 재난관리, 스마트 수자원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의 빅데이터 확산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빅데이터의 활용은 EWM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통한 새로운 결과들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만,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형태의 정보.. 2023. 1. 18.
[EE] 전과정 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1. 전과정 평가 (LCA) 정의 전과정 평가는 원료의 취득에서 연구개발, 제품의 생산과 포장, 수송 /유통/판매과정, 소비자 사용 및 최종폐기에 이르는 제품의 전체 과정상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조직적인 방법론을 의미한다. 서비스를 포함한 특정 제품의 전과정 (원료 및 가공, 제조, 수송 유통, 사용, 재활용, 폐기물 관리)에서 배출되는 에너지 및 물질을 양을 정량화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환경개선 방안은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2. 전과정 평가(LCA)의 4단계 절차 1단계: 어떤 목적을 위해서 실시하는지 그 배경과 이유를 명기하고 조사에 필요한 전제조건과 제약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2단계: 목적분석 (Inventory analysis) 단.. 2023. 1. 14.
[EE] 폐기물 처리 (Waste treatment) 1. 폐기물의 정의 인간 및 동물의 활동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대게 고체이며 필요가 없어 버려지는 물건 우리나라 폐기물 관리법: 쓰레기, 연소제, 오니, 폐유, 폐산, 폐알칼리,동물의 사체 등으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 없는 물질 고형물 폐기물(미국 자원보존 및 재활용법): 쓰레기와 폐기물 처리시설, 상수처리시설, 대기오염방지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와 기타 버러지는 물질 고형폐기물 제외 항목: 도시하수나 관개용수용 재사용, 산업폐수의 고형물, 용해상 물질, 원자력법에서 정의하는 방사성 폐기물 2. 폐기물 분류 폐기물의 분류목적: 다양한 폐기물 성상에 따라 처리 및 처분 방법이 다름 수분함량에 따른 분류, 고상, 액상, 기상 발생원에 따른 분류,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 농수산 폐기물, 축산.. 2023. 1. 7.
[EE] 환경공학이란? 많은 사람들이 환경이 무엇인지는 많이 알고 있지만 환경공학이란 것은 생소하게 느끼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제 전공과 관련 있는 환경공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환경공학이란 무엇인가? 환경의 질을 개선하고 생태적 균형을 회복시키기 위해 과학과 공학적 방법이 결합된 분야 화학, 생태학, 지질학, 수력학, 수문학, 미생물학, 경제학, 수학 등의 학문 분야를 활용하는 광범위한 분야 환경공학의 역할은 물 공급, 폐기물 처리 및 모든 종류의 오염 제어를 위한 프로세스 및 인프라 개발. 이러한 노력은 질병 전파를 예방하여 공중 보건을 보호하고 공기, 물 및 토지 자원의 오염과 악화를 방지하여 환경의 질을 보존 2. 환경공학자가 하는일은 무엇인가? 화학, 생물학, 토양 과학 등과 같은 공학 및 .. 2023. 1. 5.
반응형